카테고리 없음

아델라이데 / Beethoven

ㄹl브ㄱL 2009. 7. 31. 23:43

                                                                      

First Love... Adelaide

 

 

 


존경하는 선생님께

여기 몇 년전 출판된 저의 작품을 보내 드립니다. 송구스럽게도 이 곡은 선생님께

알리지도 않고 발표했습니다. 변명같지만... 사과드리는 마음으로 선생님께 이 곡을

바칩니다. 선생님께 미리 알려 드리지 못한 까닭은 선생님 주소를 모르기도 했거니와 부끄러웠기 때문입니다. 허락을 하지 않을지도 모르는데 감히 이 곡을 바치기가 두려웠던 것이지요. 이제나마 아델라이데를 보내 드립니다.

한창 성장하는 예술가에게 한 해 한 해 다가오는 변화가 어떤 것인지 아마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예술가는 발전을 거듭할수록 자신의 지난 작품에 대해 좀처럼 만족할 수가 없습니다. 선생님의 고결한 작품에 붙인 이 곡을 못마땅하게 보시지만 않는다면 저로서는 소원이 성취된 것과 다름없습니다. 선생님께서 감흥이 일어나 그에 버금가는 시를 지어 주신다면 제 부탁을 들어주신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새로 지은 시를 제게 보내 주신다면 정성을 다해 선생님의 아름다운 시상에 가까이 다가서 보겠습니다.

이 곡을 바치게 된 것을 제가 아델라이데를 작곡한 기쁨의 표시로 여겨 주셨으면

합니다. 또 한편으로는 그런 영혼의 즐거움을 얻은데 대한 감사와 존경의 표시로 받아 주십시오. 선생님의 시는 제게 항상 즐거움을 주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가끔 아델라이데를 들을 때 저를 꼭 기억해 주십시오.  / 1795년 8월 4일

 

피아노와 독창을 위한 칸타타

 

위 편지는 베토벤이 시인 프리드리히 폰 마티손 (Friedrich von Matthisson,1761-1831)에게 보낸 것. 슈트트가르트의 극장 지배인과 극장장을 지냈던 마티손은

노래 가사를 많이 쓴 인물로 알려져 있다.

마티손의 시에 부쳐진 베토벤의 예술가곡 <아델라이데 - Adelaide>는 25살 때 작곡한 것으로 사랑하는 여인을 향한 뜨거운 열정이 듬뿍 담겨있다.

 

Marie Adelaide, 1742, Galleria degli Uffizi / Nattier,J.M

 

아델라이데

나뭇가지 사이로 빛나는 햇살에
부드럽게 둘러싸인 봄의 들판에서
나는 외로이 방황하네,
아델라이데!

거울 같은 강물에서, 알프스의 눈 속에서,
해 저물녘 황금빛 구름에서,
밤하늘에 뿌려진 별 밭에서
그대의 모습이 빛나네,
아델라이데!

나무그늘 속에서 속삭이는 저녁바람
잔디에서 바스락거리는 오월의 은방울
파도는 포효하고 꾀꼬리는 노래하네,
아델라이데!

오, 언젠가 내 무덤에서는
재가 되어버린 심장의 꽃이 피어날거야.
보랏빛 꽃잎 하나 하나에
그대 이름이 또렷이 빛나네,
아델라이데!


Adelaide! 


Einsam wandelt dein Freund im Fruhlingsgarten,
Mild vom lieblichen Zauberlicht umflossen,
Das durch wankende Blutenzweige zittert,
Adelaide!

In der spiegelnden Flut, im Schnee der Alpen,
In des sinkenden Tages Goldgewolken,
Im Gefilde der Sterne strahlt dein Bildnis,
Adelaide!

Abendlufte im zarten Laube flustern,
Silberglockchen des Mais im Grase sauseln,
Wellen rauschen und Nachtigallen floten:
Adelaide!

Einst, o Wunder! entbluht auf meinem Grabe
Eine Blume der Asche meines Herzens;
Deutlich schimmert auf jedem Purpurblattchen:
Adelaide! 

 

 
테너 ...(Fritz Wunderlich)

 

바리톤 슈테판 겐쯔의 수려한 목소리에 실린 선율 라인이 참 아름답다. 이 곡은 베토벤의 가곡 중에서 <그대를 사랑해 - Ich Liebe Dich>와 함께 널리 애창되는 곡이다. 그런데 한가지 주목할 사실은 이 곡이 예술가곡으로 쓰여진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베토벤은 이 곡의 초판 악보에 '피아노 반주와 독창을 위한 칸타타"라고 써놓았기 때문이다.

 

음악의 천재는 사랑의 천재가 될 수 없다?

 

첫사랑을 꿈꾸듯... 동경과 설레임으로 가득한 아델라이데... 이 곡을 듣고 있노라면 

베토벤이 그려낸 것처럼 아델라이데의 아름다운 모습이 떠오른다. 이 곡을 쓸 당시,

베토벤은 젊은이답게 호방한 건반 터치와 자유분방한 피아노 연주로 빈에서 명성을

얻기 시작하고 있었다. 그 시절 베토벤은 자신의 영웅(?)적인 사고방식을 다음과 같이

피력한 바 있다.
 

 

용기를 갖도록 하자.
내 육체가 닳아 없어지는 한이 있더라도
나의 천재는 승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내 나이 스물다섯이면
인간으로 완성되어 있어야 할 때가 아닌가...

아무 할 일이 없을 정도로
이미 모든 것을 성취했어야 할 나이인 것이다.

- 베토벤 -


담대함과 정열은 모든 젊은이들의 상징이 아닐까?

그러나 음악의 천재가 사랑의 천재는 될 수 없었던 모양이다.

사랑하는 여인 앞에서 아이처럼 서툴기만 했던 베토벤.

어쩌면 그는 실연에 대한 아픔을 작곡으로 달랬는지도 모르겠다.

그런 베토벤의 심정을 알기라도 하듯... 마티손은 첫사랑에 빠진

젊은이의 심정을 <아델라이데>에 멋지게 실어 놓았다.

베토벤의 사랑에 대한 환상과 동경은
30 여년 뒤, 세상을 떠날 때까지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