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ry Karr, Double bass-Bach. <무반주Cello suit>no.3
남들은 모두 앉아서 연주하는데 유독 서서 연주하는 악기군이 있다. 한시간이고 두시간이고 연주회가 다 끝날 때까지 자세가 변하지 않는다. 더블 베이스란 악기 다. 그런데 그렇게 서서 연주하지만 아무도 그들을 주목하지 않는다. 앞줄에 가려 사실 잘 보이지도 않는다. 모습만 가려진 게 아니고 그들이 울리는 음향도 그 악 기군이 기여하는 비중에 비하면 청중의 관심을 크게 끌지 못한다.
막심 뱅게로프는 어릴 때 음악회에 가면 오보에 연주가인 아버지 모습이 보이지 않아 자기는 맨 앞에 자리잡은 바이올린을 하게 되었다고 농담 같은 얘길 했는데 어느정도 신빙성 있는 얘기인지는 잘 모르겠다.
미국출신 더불 베이스 연주자 게리 카(Gary Karr. 1941~)는 현대 더블 베이스 연 주를 대표하는 인물 중 한사람일 것이다. 더블 베이스 독주자로 명성을 쌓은 그는 특이하게도 선조들이 더블베이스를 연주하는 집안에서 자랐다고 한다. 그게 맞다면 게리 카는 사람들이 주목하지 않는 뒷줄에서 맨 앞으로, 그것도 무대 중앙으로 용 감하게 진출했다고 볼 수 있다.
더블 베이스가 독주악기인가? 여전히 이런 엉뚱한 의문을 갖는 사람도 있을 것 같다. 우연히 게리 카의 연주를 YouTube에서 듣게 된 나도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는다. 바흐 <무반주 첼로모음곡>을 담은 그의 음반을 십수년 동안 소지한 채 거들떠보지도 않았던 것이다. 구색으로 구입한 것 같은데 완전히 관심 밖이었 다. 그 곡이 아니었다면 이번에도 그에게 주목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가 폴랜드 악단과 함께 연주하는 파가니니의 <모새 변주곡>과 더불베이스 협 주곡으로 널리 알려진 쿠세비츠키의 협주곡을 들었는데 대체로 무난한 연주지만 크게 만족감을 얻지는 못했다. 비록 게리 카의 연주지만 빠르게 변하는 미세한 음 정변화에서 정확도를 떨어뜨리고 미끄럼을 타는 걸 본다. 불안정한 연주자세, 턱 없이 길기만한 지판, 독주악기로 더블 베이스가 이런 악조건을 완전히 극복했다 고 장담하진 못하겠다. <모세 변주곡>에서는 그의 연주 보다 사실은 그가 보이는 갖가지 표정들이 더욱 눈길을 끌었다. 그는 시종 그의 당당한 체구에 걸맞지 않은 애교 넘친 미소를 청중에게 보내는데 그건 마치 "이렇게 크고 둔탁한 악기를 들 고 나와 무엄하게 바이올린이나 첼로에 도전해서 미안하다" 고 말하는 것 같았다. 여기까지라면 난 그의 이야기를 쓰지 못했을 것이다.
별다른 기대감 없이 들어본 그의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연주는 내게 새로 운 발견이다. 이 경우는 다른 곡에서 악조건이던 더블베이스의 거인증이 도리어 큰 이점과 미덕으로 작용한 경우라고 생각된다. 당연한 얘기지만 우선 스케일이 매우 큰 연주이고 군더더기란 없다. 섣부르게 노래의 유혹에 빠지는 법도 없고 시종 단 순하고 담백한 소리를 유지한다. 3번의 짧은 스타카토로 이어지는 쿠랑트에서 짧은 토막음들은 풍부한 볼륨으로 색다른 맛을 전해준다. 둔탁한 소리인데도 전체적으로 리듬이 죽지 않고 생물처럼 살아 숨쉬고 있다. 특히 감탄을 자아내는 그와 그 악기 가 자아내는 저음이 일품이다. 3번 알르망드 후반의 종결과 부우레 2가 끝날 때 악 기가 토해내는 깊고 깊은 저음에 순간적으로 자기 마음을 의탁하고 싶은 충동을 느 꼈다. 이것은 첼로 연주에서 맛보지 못한 경험이고 새로운 발견이다. 내가 이 음악 에서 생각하는 위안과 정화(淨化)를 게리 카 연주는 넉넉하게 전해주는 것이다.
게리 카의 깊고도 융숭한 저음을 들으며 문득 이탈리아의 비올라 연주자 파올로 판 돌포(Paolo Pandolfo)가 떠올랐다. 상냥하기 그지없고 노래가 풍부한 그의 연주가 지금 듣는 게리 카의 더블베이스 연주와 너무 다른 대척점에 있기 때문이다. 그는 고음악 연주에 능통한 인물이고 2010년 비올라 다 감바(viola da gamba)로 연주된 바흐 <무반주 첼로모음곡> 전곡 연주집을 들고 서울에 와서 화제를 모은 바도 있 다. 그는 바흐가 첼로가 아닌 비올라 다 감바를 위해 이 음악을 작곡했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이런 주장은 사실확인이 불가능한 것이므로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은 비올라 다 감바로 연주된 그 음악이 그의 주장을 얼마나 설득력 있게 바쳐주 는가 확인하는 것이다. 파올로 판돌포는 악기를 아주 능숙하게 잘 다루고 있고 감각 도 신선해서 많은 지지자들을 이끌어냈다. 첼로연주에 비해 훤씬 섬세하고 다감한 표현력이 그의 비올라 다 감바 연주에서 돋보였다. 그러나 재즈 연주를 연상시키는 지나친 바이블레이션, 자주 짧게 끊어지는 생략주법 등이 곡의 형태마저 바꿔놓았다. 판돌포는 악기만 바꾼 게 아니고 곡 자체를 악기에 맡춰 편곡한 것이다. 첼로의 무거움에 피로감을 느낀 사람에게 이 연주는 신선감을 주겠지만 내가 듣기에 그 연 주는 첼로를 대체할 수 있는 연주는 아니었다.
다수의 첼로 연주자들도 이 곡을 통해 깊은 공감을 주는데 실패하고 있다. 아무리 유려한 솜씨를 뽐내도 그런 연주를 나는 혼이 빠진 연주라고 말한다. 그래서 음악 과 손이 서로 호흡이 맞지 않는 것이다. 이 한 곡 연주로 적어도 나에게 게리 카 의 관록과 음악성은 충분히 입증되었다. 그는 자신이 무대 중앙에 자리 잡은 것을 전혀 미안하게 생각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https://www.youtube-nocookie.com/embed/bnASsRo6B3E
J.S.Bach / Gary Karr
Suite No.3 BWV.1009
'◇문화산책(culture) > 송영의 음악살롱(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밀 길레스 -라흐마니노프 프렐류드 Op.23 No.5 (0) | 2015.01.16 |
---|---|
환영! 프란치스코--Bach.Gouno Avemaria (0) | 2015.01.16 |
다니엘 바렌보임 - <테레제를 위하여> (0) | 2015.01.16 |
유진 이자이 :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mov.3) (0) | 2015.01.16 |
스타니슬라프 부닌 - 쇼팽 녹턴 (0) | 2015.01.16 |